커리어&취업&면접의 바른 길을 위한 J-Way Partners

프리미엄 채용의 정석, 성공의 J-Way Partners <채용 전문가의 맞춤형 컨설팅>

법,정치

📌 통상임금 완벽 가이드: 개념부터 최신 판례까지 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

J-Way. SoG 2025. 4. 2. 00:50
반응형

💡 근로자와 사용자가 반드시 알아야 할 임금 체계의 핵심 개념 중 하나가 바로 통상임금입니다.
✅ 통상임금은 각종 수당과 퇴직금 산정의 기준이 되므로, 그 정확한 이해는 노동 현장에서 매우 중요하죠.
이 글에서는 통상임금의 정의, 특징, 장단점, 최신 판례까지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.


❓ 통상임금이란?

📘 통상임금이란?
👉 근로자에게 정기적·일률적으로 소정 근로 또는 총 근로에 대해 지급하기로 정한 임금입니다.
즉, 근로계약서나 취업규칙 등에 명시된 근무를 하면 반드시 받게 되는 돈이에요.
➡️ 예: 기본급, 정기상여금(조건 없을 시), 직책수당 등

🔗 근로기준법 제2조 참고


🔍 통상임금의 특징

항목설명
🔁 정기성 일정한 간격(예: 매월)으로 반복 지급
🔄 일률성 조건을 충족한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하게 지급
🧾 소정근로 대가성 정해진 근로 제공 시 반드시 지급되는 임금

✔️ 이 세 가지 조건을 모두 충족하는 항목만 통상임금으로 인정됩니다.


⚖️ 통상임금의 장점과 단점

✅ 장점

  • 📐 명확한 기준 제공: 퇴직금, 연차수당 산정 시 혼동 줄이기
  • 🛡️ 근로자 권리 보호: 지급 기준이 명확해 분쟁 감소

❌ 단점

  • 🧮 복잡한 판단 기준: 포함/제외 여부가 헷갈릴 수 있음
  • ⚠️ 노사 갈등 발생 가능성: 해석 차이로 법적 분쟁까지도

🧮 통상임금 산정 방법

급여 유형계산식 예시
시급제 시급 = 통상임금
월급제 월급 ÷ 월 소정근로시간 (보통 209시간)
주급제 주급 ÷ (주 소정근로시간 + 주휴시간)

📌 예시: 월급 2,500,000원 / 월 근로시간 209시간
👉 2,500,000 ÷ 209 ≒ 11,961원/시간


⚖️ 최신 대법원 판례 (2024.12.19)

⚖️ 대법원은 기존의 “정기성+일률성+고정성” 기준에서
➡️ **“정기성+일률성+소정근로 대가성”**으로 기준을 재정립했어요.

📌 재직조건부 상여금, 출근일 조건 수당도
소정근로의 대가로 지급된다면 통상임금에 포함될 수 있습니다.

🔗 관련 블로그 보기

 


📊 평균임금과 통상임금 차이

항목통상임금평균임금
정의 정해진 조건 충족 시 정기지급 임금 최근 3개월 실제 지급된 임금 평균
적용 예시 연차수당, 연장근로수당 등 계산 기준 퇴직금, 휴업수당 등 계산 기준
금액 기준 고정적이고 낮은 경우가 많음 실수령 기준으로 높게 나오는 경우 많음

❓ 자주 묻는 질문 (FAQ)

Q1. 연차수당은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하나요?
✅ 네, 1일 통상임금을 기준으로 미사용 연차일수를 곱해서 계산합니다.

Q2. 성과급은 통상임금에 포함되나요?
❌ 일반적으로 포함되지 않지만, 고정적·일률적으로 지급된다면 포함될 수 있습니다.

Q3. 복지포인트는 통상임금인가요?
❌ 아닙니다. 복지 포인트는 선택적 사용이 가능하고 고정 지급이 아니므로 포함되지 않습니다.


📣 CTA (Call to Action)

📌 지금 우리 회사의 임금 구조, 통상임금 기준에 맞게 운영되고 있을까요?
📞 노무 진단과 임금 구조 검토가 필요하시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보세요!
👉 댓글 또는 메일로 문의 주시면 무료 컨설팅도 가능합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