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면접컨설팅

면접시, 해당 시험 면접에서 불합격한 경험을 얘기하게 되는 경우.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

by J-Way. SoG 2025. 2. 27.
반응형

면접에서 과거에 해당 시험이나 면접에서 몇 번 떨어졌다는 이야기를 하는 것은 전략적으로 접근해야 합니다. 이 정보가 반드시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아니지만, 잘못 전달되면 면접관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도 있습니다. 아래는 관련 사항을 긍정적으로 전달하는 방법과 주의점입니다.


  1. 솔직하면서도 자신감 있게 이야기하라: 과거 실패 경험을 숨기기보다, 이를 성장과정의 일부로 포장하세요. 솔직함은 신뢰를 줄 수 있습니다. 하지만 지나치게 실패에 대해 강조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2. 성장의 증거를 보여라: 과거 실패 후 무엇을 배우고, 어떤 점에서 개선했는지를 이야기해야 합니다. 예를 들어, 관련 기술을 배우거나 부족했던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구체적으로 설명하세요.
  3. 성실함과 끈기를 강조하라: 몇 번의 도전에도 포기하지 않았다는 점은 열정과 성실함의 증거입니다. 특히, 해당 직무에 대한 강한 의지를 강조할 수 있는 기회로 삼으세요.
  4. 비교적 간략히 다뤄라: 실패 경험은 설명하되, 면접의 초점이 그 경험에만 맞춰지지 않도록 조심하세요. 주요 대화 주제를 긍정적이고 현재 중심으로 돌리는 것이 중요합니다.
  5. 감정적으로 접근하지 마라: 실패 경험을 이야기할 때 감정적으로 접근하면 면접관에게 부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. 대신 이를 분석적으로 접근하고 극복한 과정을 논리적으로 제시하세요.
  6. 미래 지향적 태도: "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배우며 더 나은 결과를 낼 자신이 있습니다"와 같은 문구로 끝내면 좋은 인상을 남길 수 있습니다.
  7. 면접관의 입장에서 생각하라: 면접관은 지원자가 실패 경험에서 무엇을 배웠고, 조직에 어떻게 기여할 수 있을지 알고 싶어합니다. 실패의 이유보다 그 이후의 행동과 태도가 더 중요합니다.
  8. 구체적인 예시 활용: 예를 들어, “지난번 면접에서 OOO 능력이 부족하다는 피드백을 받았습니다. 이후 관련 경험을 쌓고, 이번에는 더 준비된 상태로 임하게 되었습니다.”처럼 구체적인 학습과 발전 과정을 언급하세요.
  9. 도전 정신을 강조하라: 해당 직무가 쉽지 않은 만큼 여러 번의 도전을 통해 준비해왔다는 점은 오히려 강점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.
  10. 자신감 있는 마무리: "이전 경험은 저를 더 나은 지원자로 만들어 주었고, 이번에는 그 결과를 보여드릴 준비가 되었습니다."라는 식으로 자신감을 보여주세요.

이와 같은 방식으로 접근하면, 면접관은 지원자가 과거 경험을 통해 성장하고 발전했으며, 해당 직무에 대한 열정을 가진 인재라고 평가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