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커리어,취업컨설팅

MBTI 항목에 따른 적합한 직무는?

by J-Way. SoG 2025. 2. 26.
반응형

면접시 MBTI 성향을 고려할 때 필요한 요소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지원자의 성격적 특성이 직무에 어떻게 영향을 미칠지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. 다만, MBTI는 지원자의 적합성을 평가하는 여러 요소 중 하나일 뿐이며, 절대적인 기준이 되지는 않습니다.

1. 외향성(E)과 내향성(I)

  • 외향적인 지원자는 팀과의 협업이나 고객과의 소통이 중요한 역할에서 강점을 발휘할 수 있으며, 적극적으로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상호작용을 활발히 할 가능성이 높습니다.
  • 내향적인 지원자는 깊이 있는 분석과 혼자 수행하는 과업에서 높은 집중력과 성과를 낼 수 있어, 연구나 분석적인 직무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.

2. 감각형(S)과 직관형(N)

  • 감각형은 세부 사항을 잘 파악하고 현실적이어서 실용적인 직무(예: 운영, 재무)에서 좋은 성과를 낼 가능성이 큽니다.
  • 직관형은 큰 그림을 보거나 창의적인 문제 해결이 요구되는 역할(예: 기획, 전략)에서 강점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.

3. 사고형(T)과 감정형(F)

  • 사고형은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결정을 잘 내려야 하는 역할(예: 엔지니어링, 분석)에 잘 맞으며, 데이터를 근거로 한 판단을 선호합니다.
  • 감정형은 사람들과의 관계 형성과 공감 능력이 중요한 직무(예: HR, 고객 서비스)에 적합할 수 있습니다.

4. 판단형(J)과 인식형(P)

  • 판단형은 체계적이고 계획적인 접근이 필요한 직무(예: 프로젝트 관리, 운영)에 강점이 있을 수 있습니다.
  • 인식형은 유연하게 변화를 받아들이고 창의적인 직무나 변화가 잦은 환경(예: 마케팅, 디자인)에서 강점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.

유의사항

MBTI는 개인의 성격적 경향을 이해하는 참고 자료일 뿐이므로, 이를 절대적인 채용 기준으로 삼기보다는 지원자의 전체적인 역량, 경험, 그리고 상황에 맞는 판단력이 더 중요한 요소입니다.
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