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이 주의 QT, 코람데오

한국교회의 열두 돌 한국 선교 140년의 역사를 돌아보는 시간

by J-Way. SoG 2025. 3. 7.
반응형

한국교회의 열두 돌 한국 선교 140년의 역사를 돌아보는 시간

시간 간격: 00:00:00 - 01:13:57

📜 요약

📢 대규모 전도 운동의 부흥

  • 1973년 빌리 그래함 전도 대회는 여의도 광장에서 110만 명이 참석하는 사상 최대 규모의 집회로 기록됨.
  • 이후 1974년 엑스플로 대회, 77년 민족복음화 대성회, 88년 세계복음 대성회 등으로 이어지며 부흥의 흐름이 지속됨.

  • 🌍 세계 선교로의 확장
  • 1980년대 이후 한국 교회는 해외 선교에 더욱 집중, 특히 1988년 이후 선교사가 급격히 증가함.
  • 2013년 기준 2만 명 이상의 선교사를 파송하며 세계 선교사 파송 순위 2위를 기록함.

🏫 기독교 교육과 사회적 영향력 확대

  • 한국 선교사들은 선교지에서 교육과 의료를 통해 지역 사회를 변화시킴.
  • 2014년 기준, 88개의 학교와 17개의 기독 대학이 선교지에 설립됨.

🇰🇵 북한 선교의 비전과 도전

  • 1990년대 이후 북한 선교가 중요한 사역으로 부각됨.
  • 교회들은 북한 주민들을 위한 선교 전략을 고민하며, 한반도 평화와 복음 통일을 기도함.

🛑 코로나19 이후 한국 교회의 위기

  • 팬데믹 이후 약 1만 개의 교회가 문을 닫고, 30% 이상의 교인이 교회로 돌아오지 않음.
  • 저출산·고령화, 사회적 불신, 개교회주의 문제 등으로 인해 교회 성장 정체 및 쇠퇴가 가속화됨.

🔄 새로운 도전과 변화의 필요성

  • 한국 교회는 세계 선교의 중심에서 쇠퇴 위기에 놓이며, 선교적 전략과 교회의 역할을 재정립해야 하는 시점에 도달.
  • 로잔 운동과 같은 세계 복음주의적 흐름과 협력하여 새로운 방향을 모색할 필요성이 강조됨.

🔢 숫자로 보는 통찰

  • 1973년: 빌리 그래함 전도 대회에서 110만 명 참석, 10만 명 결신.
  • 1988년: 한국 선교사 파송 급증, 2013년 2만 명 돌파.
  • 2014년: 한국 선교사들이 세운 학교 88개, 대학 17개.
  • 2024년: 코로나19 이후 교회 출석률 30% 감소, 1만 개 교회 폐쇄.

한국교회의 12돌(十二石)은 한국 기독교 역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 열두 개의 기념비적 사건이나 원칙을 상징합니다. 이는 성경에 등장하는 요단강에서 가져온 12개의 돌(여호수아 4:1-9)처럼, 하나님께서 한국 교회를 인도하신 역사의 표징으로 여겨집니다. 영상에서는 구체적으로 12개의 돌을 명확하게 나열하지 않지만, 다음과 같은 주요 사건과 원리를 포함할 가능성이 큽니다.

🏛 한국교회의 12돌 (추정)

  1. 한글 성경 번역 (성경의 빛이 비추다)
  • 한글 성경 번역이 이루어지며 조선에서 기독교가 본격적으로 확산됨.
  1. 1885년 최초의 개신교 선교사 입국 (선교의 시작)
  • 언더우드와 아펜젤러 선교사 입국, 한국 교회가 본격적으로 시작됨.
  1. 1907년 평양 대부흥 운동 (영적 대각성)
  • 회개와 기도로 한국 기독교의 기초를 놓은 영적 각성 운동이 일어남.
  1. 3.1운동과 기독교 (민족과 함께한 신앙)
  • 독립운동에 기독교인들이 적극 참여하며 민족과 함께 신앙을 실천함.
  1. 일제강점기 신사참배 거부 (순교자의 신앙)
  • 신사참배를 거부한 주기철, 손양원 목사 등의 순교와 교회의 핍박.
  1. 한국전쟁과 피난 교회 (신앙의 재건)
  • 전쟁으로 인해 많은 교회가 폐허가 되었지만, 천막 교회를 세우며 신앙을 지켜냄.
  1. 새벽기도와 철야기도 문화 (기도하는 교회)
  • 한국교회만의 독특한 기도 운동이 활성화되며 신앙의 힘이 됨.
  1. 1973년 빌리 그래함 전도 대회 (대중 복음화 운동)
  • 여의도에서 열린 전도 집회를 통해 한국 교회가 폭발적으로 성장함.
  1. 해외 선교사의 급증 (선교하는 교회)
  • 1980년대 이후 한국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많은 선교사를 파송하는 나라가 됨.
  1. 북한 선교와 복음 통일의 비전 (한반도를 향한 소명)
  • 분단 이후 북한을 위한 기도와 선교의 사명을 강조함.
  1. 사회적 봉사와 의료·교육 선교 (섬기는 교회)
  • 월드비전, 기독교 병원 및 학교 등을 통해 사회적 책임을 실천함.
  1. 코로나 이후의 위기와 도전 (새로운 방향 모색)
  • 코로나 이후 교회의 쇠퇴를 극복하고 신뢰를 회복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.

🛠️ 요약

한국교회의 12돌은 단순한 기념물이 아니라,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증거하는 역사적 사건과 원리들입니다. 한국 교회는 이를 기억하며 앞으로도 신앙과 선교의 길을 걸어가야 할 것입니다.

https://youtu.be/gcVqMO43hF8

 

 

반응형